프로젝트 생성
File - New - Project
왼쪽 Generators 탭에서 Spring Boot 선택 후 이름과 경로를 설정해준다.
dependency를 미리 추가해주는 부분인데, 나중에 추가해줄수도 있으니 그냥 create 해줬다.
인텔리제이 무료 버전에서는 이 기능을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여기서 프로젝트를 만들어줘야 한다 !
폴더 구조
가장 많이 사용하게 될 부분은 src 폴더와 build.gradle 파일이다.
build.gradle에 dependency 추가
spring-boot-starter-web
spring-boot-starter를 뒤에 -web 을 붙여준다.
dependencies {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web'
}
spring-boot-starter-web은 웹 요청을 처리하기 위한 의존성이 포함되어 있는 라이브러리다.
이 라이브러리의 하위에 jackson, spring-core, spring-bean 등 웹 개발에 필요한 많은 의존성들이 포함되어 있어서
수많은 라이브러리를 가져올 필요 없이 spring-boot-starter-web 하나만 쓰면 하위의 기능들을 모두 사용할 수 있게 된다.
jpa, mariadb 등 필요한 dependency가 있으면 공식 문서 등을 보고 양식에 맞게 추가해주면 된다.
Sync Project
바꾼 후에는 sync를 맞춰줘야 한다.
build.gradle을 수정하면 자동으로 오른쪽 상단에 sync 아이콘이 뜨는데,
혹시라도 뜨지 않으면 오른쪽 탭바에 코끼리 모양을 누른 후 새로고침을 눌러주면 된다.
만약 sync를 눌러도 잘 적용이 되지 않는다면, build.gradle sync를 맞춘 걸 clean한 후 다시 sync를 맞춰주면 된다.
clean하는 방법은 코끼리 모양 누른 후 Tasks -> build -> clean 더블클릭 하면 된다.
'BE > Spring Boot'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Boot] 서버 -> 클라이언트로 데이터 전달 (ResponseEntity) (0) | 2025.02.05 |
---|---|
[Spring Boot] 클라이언트 -> 서버로 데이터 전달 (RequestMapping) (0) | 2025.02.05 |
[Spring Boot] Controller와 RestController 차이 (0) | 2025.02.05 |
[Spring Boot] 컴포넌트 스캔 / Bean (0) | 2025.02.04 |
[Spring Boot] Spring, Spring Boot란? / 제어 역전(IoC), 의존성 주입(DI) (1) | 2025.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