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7 ~ 4.11 벌써 20주차... 이거 맞아요?이번 주에 진행한 내용이번 주에는 수요일에 중간 발표가 있었다. 원래는 없었는데 생긴 거라고..ㅠ ㅠ 중간 발표는 내가 맡아서 하기로 했다. 발표하는 사람이 발표 PPT와 대본을 작성하는 게 나을 것 같아서팀원들한테 프론트엔드 구현을 맡겨두고 월요일에는 오전까지 프론트 구현하고, 오후에는 발표 자료를 만들고 대본을 작성했다.화요일에 발표 연습을 오전, 오후 두 번 진행했다. 오전 발표 연습을 진행하고 강사님께 중간 발표 피드백을 받고, 피드백 기반으로 수정한 다음 오후에 연습을 빠르게 진행했다.우리는 마지막 순서였는데, 오전에 첫 연습이라 좀 길게 진행하다보니 우리 팀 발표할 시간이 없어서 ㅠㅠ 점심 먹고 오후에 첫 연습을 진행했다. 그래서 오후 연습..
3.31 ~ 4.4이번 주에 진행한 내용 월요일에는 요구사항 정의서를 작성하고, 두 번째 멘토링을 진행헀다.첫 번째 멘토링 때 아이스 브레이킹 겸 2시간 동안 멘토님과 수다 타임을 가졌기 때문에...이번 멘토링에서는 우리 프로젝트의 기획서와 요구사항 정의서, 그리고 아직 미완성된 화면 설계서를 보여드리고 피드백을 받았다. 현업과 비즈니스 위주로 멘토링을 진행해주셨고, 기능들을 추천해주고 구현 시 고려사항에 대해서 얘기해주셨다.AI 기능이 들어가면 좋을 것 같다는 멘토님 의견을 듣고 우리는 Q&A 게시판에 AI 답변 기능을 추가하기로 결정했다 !채팅방 관련해서도 많은 피드백을 주셨는데, 멘토님이 말씀하신 걸 듣고 나니 생각보다 채팅 기능이 어려울 것 같아서 걱정이다 ㅜ 화요일부터는 일주일 동안 피그마 화..
3.24 ~ 3.28 드디어 최종 프로젝트 팀이 정해지고 최종 프로젝트를 시작하게 되었따 !! 처음 보는 사람들도 많을 줄 알았는데 맨날 보고 같이 밥도 먹던 친구들과 같은 팀이 됐다. 주변 팀들 구성을 보니까 최대한 친한 사람들과 같이 팀 구성을 하게 해주려고 노력하신 것 같다. 사실 나는 우리 기수에서 얘기를 한 번도 안 해본 분들도 있어서 처음 보는 사람들이 많았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는데.. 이 부분은 아쉬웠지만 그래도 지금 팀 구성도 좋아서 지금 팀원들과 열심히 할 예정이다.이번 주에 진행한 내용이번 주 월요일, 화요일에는 CICD 프로젝트로 진행했다. 저번 주 금요일에 빌드 + 배포에 필요한 yml 파일을 미리 작성해두고 진행했다.월요일에는 팀원들과 회의를 진행하면서 빌드를 어떻게 할지, 배포 ..
3.17 ~ 3.21 강사님께서 알려주시는 이론 수업이 드디어 끝났다...!짧은 기간 안에 너무 많은 정보가 들어와서 정리하기도 힘들고 모든 내용들을 다 습득하기도 어려웠지만그래도 나름 잘 따라갔던 것 같다.이제 최종 프로젝트만 남았다... 배운 내용들을 가득 담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고 싶다 !! 이번 주에 배운 내용월요일에는 쿠버네티스와 같은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에서 서비스 간 통신을 관리하고 제어를 쉽게 해줄 수 있는 istio에 대해서 배우고, MSA 데모 프로젝트를 가지고 실습을 진행하면서 어떻게 istio로 관리하는지를 배웠다.그리고 3계층 아키텍처 배포 실습을 진행했다. 회원 기능의 마이크로서비스를 개발해서 디플로이먼트로 배포하고, DB 서버를 올리고, ConfigMap 등을 작성하고 G..
3.10 ~ 3.14 이번 주에 배운 내용이번 주에는 도커 수업이 끝나고 쿠버네티스 수업을 시작했다!근데 이번 주 월요일이 도커 첫 수업이었는데... 하필 전날 저녁 먹고 체를 심하게 해서 속이 안 좋아서 계속 울렁거려가지고 ㅠㅠ 화장실 왔다갔다 하면서 헛구역질하다가 점심에 약 먹고 좀 괜찮아지긴 했는데 머리가 울려서 결국 수업을 제대로 듣지도 못하고 실습도 진행하지 못 했다. 그래서 이틀차부터 수업을 들었는데... 첫날 못 들은 게 좀 크리티컬했다. 수업을 듣는데 이해가 가질 않아서 ㅠㅠ 옆자리 동기한테 계속 물어보면서 실습을 진행했다.도커 네트워크와 쉘 프로그래밍에 대해서 배우고, 도커 컴포즈로 DB master-slave 를 구성하는 실습을 진행했다. 도커 3일차에는 도커 환경에서 디버그하는 방법에..
3.4 ~ 3.7이번 주에 배운 내용이번 주에는 수목금이 프로젝트였기 때문에 화요일에 MSA 관련해서 마지막 진도를 나갔다! 서킷 브레이커에 대해서 배우고 실습을 진행했다.요청이 계속 에러가 나면 예외처리를 해서 닫힘 상태로 요청을 받지 않고, 시간이 좀 지나면 다시 열림 상태로 바뀌어서 요청을 받는 등의 실습을 진행했다. SAGA에 대해서도 배웠다.하나의 비즈니스 로직을 처리하는 여러 마이크로 서비스가 있을 때, 모든 서비스가 다 성공하거나 하나가 실패하면 모든 서비스를 실패처리 하는 패턴이다. = 분산된 서비스끼리 트랜잭션 처리하는 패턴이벤트를 발행하는 라이브러리가 따로 있지만, 실습에서는 전에 배웠던 카프카를 사용했다. 상품과 주문으로 실습을 진행했는데, 만약 상품 수량이 40개 남아있을 때 상품 ..
2.24 ~ 2.28 새해 복 많이 받으라고 인사를 나누던 게 엊그제 같은데 벌써 2월이 끝났다.... 시간이 진짜 빨리 간다고 느끼면서 한편으로는 최종 프로젝트가 다가온다는 사실이 조금 기대되는 것 같다. 14주까지 진행하면서 개발자로서 많이 성장한 것 같다. 리눅스, 네트워크 등 기초적인 개념부터 뷰에 대해서도 배우고, 스프링 수업을 들으면서 스프링 부트로 REST API를 구현해보고, 팀원들과 프로젝트 성능 개선에 대해 토론하면서 조금은 개발자다워졌다고 스스로 느끼고 있다!앞으로 다가올 최종 프로젝트에서도 지금까지 공부한 것들을 잘 활용해 완성도 높은 프로젝트를 구현해보고 싶다...!근데 최종 팀 언제 나와요....? 넘 궁금 🥺 이번 주에 배운 내용이번 주에는 드디어 Spring 수업이 끝났..
2.17 ~ 2.21이번 주에 배운 내용월요일에는 웹 소켓과 카프카에 대해서 배웠다.개인적으로 웹 소켓 부분을 배우고 싶었는데 이번 수업을 통해 조금은 알게 된 것 같아서 좋았다. 백엔드에서 처리해줘야 할 부분이랑 프론트에서 처리해줘야 할 부분에 대해 배우고, 웹 소켓을 사용해 실시간으로 메시지를 주고 받는 실습을 진행했다.카프카에 대해서도 배웠고, 카프카와 주키퍼를 통해서 메시지 전송과 수신하는 실습을 진행했다. 프론트 서버 1대, 카프카-주키퍼 서버 1대, 나머지 백엔드 서버를 만들어서 팀원들과 실습을 진행했다.밑에가 그 내용인데....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넘 웃겨가지고 강의실에서 웃참하느라 힘들었다. 화요일에는 stomp와 spring cloud gateway, eureka에 대해서 배웠다.S..
2.10 ~ 2. 14이번 주에 배운 내용월요일에는 swagger 설정하는 법과 datasource로 DB 이중화하는 법, 그리고 페이지네이션에 대해서 배웠다.프론트엔드 역할로 프로젝트 구현을 할 때 백엔드 분들이 준 스웨거 URL로 접속해서 그걸 보면서 프론트에서 데이터를 받아왔었는데, 내가 직접 스웨거 API를 사용해서 명세서를 작성하니까 뭔가 신기했다...! datasource를 통해서 마스터와 슬레이브 DB 서버를 만들어서 이중화하는 법도 배웠다. DB를 배울 때 마스터 슬레이브로 읽는 작업만 할 때는 슬레이브 서버 사용하고, 쓰기 작업을 할 때는 마스터 서버를 사용하고 이런 것들을 배웠었는데 실제로 datasource를 사용해서 get 작업과 post 작업에서 적용하는 과정을 배웠다.페이지네이션..
2.3 ~ 2.7 정말 너무 추웠던 이번 주,,,추우니까 아침에 전기장판 밖으로 나오고 싶지가 않아서 일어나는 게 넘 힘들었다 😅그리고 연휴에 일주일 동안 쉬다가 다시 평일 9시부터 6시까지 수업을 들으려니까 평소보다 더 피곤했던 것 같다어쨌든 넘 피곤했던 한 주 그리고 이번 주부터 드디어 스프링을 시작했다. 새로운 걸 배우면서 설레면서도 교육을 벌써 절반 가까이 했다는 게 와닿아서 시간이 넘 빨리 가는 것 같아 조급한 마음이 든다.할 게 왜 이리 많은 건지 ㅜ ㅜㅠ 이번 주에 배운 내용이번 주 월요일에는 알고리즘을 배웠고, 화요일부터 스프링을 배웠다 !! 사실 스프링을 배우고 싶어 이 부트캠프에 지원했었는데 드디어 배우기 시작했다 ! 스프링과 스프링 부트에 대해서 배우고, 스프링 부트 프로젝트를 만들..